1. 겨울과 함께 찾아온 배터리 방전 공포
겨울철 도로에서의 안전은 항상 큰 관심사입니다.
특히 자동차 배터리 방전 사고는 추운 날씨에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 중 하나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대처하기 위해 운전자들은
주로 보험사의 긴급출동 서비스를 이용하곤 합니다.
그러나 갑작스런 한파에는 긴급출동이 폭증하여
대기 시간이 기본 1~2시간에서 무한정 하루 종일
기약없이 걸릴 수도 있기 때문에 자동차 이동을
포기해야 할 수도 있는 불편함이 따르곤 합니다.
2. 기다리다 지치기 전에 응급조치해보기
따라서, 긴급상황에서 자체적으로 시동을 걸 수 있는
응급 조치 방법을 알고 있다면 유용합니다.
겨울에는 배터리 성능이 낮은 기온의 영향을 받아
급격하게 저하됩니다.
다행히도, 배터리 성능을
일시적으로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배터리 위에 뜨거운 물을 부어서
온도를 높이는 방법입니다.

주변에 물을 끓일 수 있는 여건이라면
물을 끓여와서 배터리에 부으면 됩니다.
뜨거운 물을 부을 때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고
뜨거운 물을 머금어 보온 성능을 높이기 위해
배터리에 걸레 등을 덮어두고 부으면 좋습니다.
물을 부을 때 너무 한꺼번에 붓지 마시고
천천히 온도를 올려 주기 위해서 붓는거니까
드립 커피 내리듯이 천천히 지속적으로
부어 주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3. 방법의 한계 및 주의사항
그러나 이 방법은 배터리가 일정 수준 이상의
성능을 유지하고 있을 때에만 효과적입니다.
간단히 확인하는 방법은 시동을 걸기 직전
자동차 계기판에 불은 들어오지만 시동만 안걸리는
약한 방전 상태에서는 시도해볼만 합니다.

하지만 계기판에 불도 안들어오는
완전 방전에는 시도를 권장드리지 않습니다.
또한 온도를 높이고 시동을 걸어봤는데
걸리지 않을 시 다시 재시도하는 것은
다른 부품의 추가적인 고장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권장되지 않습니다.
4. 결론
배터리 방전은 겨울철이면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겪는 보편적인 현상으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의외로
우리나라 전체 차량 수의 0.3% 정도의 차량에만
발생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결국 배터리 성능이
저하된 차량만 방전이 됩니다.
따라서 본인의 차량이 배터리 방전이 됐다면
이미 성능이 저하된 배터리가 한파로 방전됐구나로
판단하시길 바라며, 이후에는 정비소를 방문하여
배터리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교체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대처 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벼룩파리 퇴치 방법 총정리 - 해충 박멸해서 광명찾자! (0) | 2024.01.18 |
---|---|
개물림 사고 대처 방법 총정리 - 자신과 타인을 보호하자 (0) | 2024.01.16 |
요로결석 응급조치 - 실제로 경험해본 통증 완화 방법 (1) | 2024.01.15 |
저체온증 증상과 대처방법 - 추운 겨울, 위험하지 않으려면? (2) | 2024.01.14 |
자동차 침수에서 살아남는 법 - 장마철 필수 생존 방법 (1) | 2024.0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