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 꿀팁

임신출산진료비 지원 제도에 대해 아시나요?

by 이쏘용 2024. 2. 3.

태어날 아이의 건강과 예비 엄마의

안전한 출산을 위한 복지 지원이 있습니다.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의료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에서는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우리 사회가 어떻게 예비 부모와

태어날 아기를 위한 따뜻한 환경을 조성하고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제도란?


2008년 12월 15일부터 시행된 이 제도는

건강한 태아의 분만과 산모의 체계적인

건강 관리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이는 출산 친화적인 환경을 만들어,

가정마다 출산의 기쁨이 경제적 부담 없이

맞이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2. 운영 방식


사회보장정보원과 금융사의 협력 아래

위탁 방식으로 운영되는 이 프로그램은

임신·출산 진료비를 전자바우처 형태로 지원합니다.

이용 가능한 금융기관에서 발급받은

국민행복카드에 지원금이 충전되어,

지정된 의료 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지원 대상 및 제외 대상


임신 확인서를 통해 임신이 확정된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가 지원 대상입니다.

다만, 의료급여 수급권자, 국가유공자 등

의료보호 대상자, 주민등록 말소자 등은 제외됩니다.



4. 신청 방법과 절차


임신부 본인 또는 가족 대리 신청이 가능하며,

병원에서 발급받은 임신확인서와 함께 방문

또는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 임신확인 정보를 입력한 후,

임신부는 카드사 홈페이지나 전화를 통해

바우처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1. 필요한 서류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을 위한 신청 과정은

몇 가지 중요한 서류를 필요로 합니다.

병원에서 발급받은 임신확인서를 포함한

 

신청서(별지 2호 서식)가 기본적으로 요구됩니다.

만약 가족이 대신 신청할 경우, 임신부와의 관계를

증명하는 서류도 함께 제출해야 합니다.

이는 임신부 본인의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등이 될 수 있습니다.



2. 지원 범위와 사용법


지원 범위는 임산부의 진료비뿐만 아니라

처방된 약제와 치료재료 구입에 대한

본인부담금 결제를 포함합니다.

2세 미만 영유아에 대해서도

같은 지원이 적용됩니다.

국민행복카드를 사용하여 요양기관에서

직접 본인부담금을 결제할 수 있으며,

이 과정은 무척 간단하고 편리합니다.



3. 지원금액과 사용기간


임신 한 번당 제공되는 지원금액은 100만원이며,

다태아 임산부의 경우 140만원,

분만 취약 지역의 임산부에게는

추가로 20만 원이 지급됩니다.

카드 수령 후 분만 예정일로부터

2년간 사용 가능하며, 사용하지 않은

잔여금액은 자동으로 소멸됩니다.



4. 신청 및 문의


신청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콜센터나

병원을 통해 할 수 있으며,

임신부는 언제든지 남은 바우처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단 홈페이지나 지정된 카드사 콜센터를 통해

간편하게 확인 가능하며, 결제 시 발급되는

카드 매출전표와 문자(SMS)를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제도는 임산부와

태어날 아기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키고자 합니다.

정부의 이러한 지원을 통해 모든 가정이

건강하고 행복한 출산 경험을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여러분의 가정에 축복과 건강이 가득하기를 소망합니다.



댓글